본문 바로가기
정보

6·25는 왜 공휴일이 아닐까?

by kunimi2000 2025. 6. 25.
728x90

전쟁의 아픔은 기억되지만, 쉬지는 않는 날

매년 6월 25일이 되면 뉴스를 통해 ‘한국전쟁 발발 ○○주년’이라는 말이 들려옵니다.
국가적인 추모 분위기가 형성되기도 하고,
SNS에는 태극기나 참전 용사 관련 게시물도 올라오죠.

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지 않으셨나요?

 

“현충일은 공휴일인데,

전쟁이 시작된 6·25는 왜 평일일까?”

 

오늘은 그 궁금증의 해답을 알기 쉽게 풀어드릴게요.


🕯️ 6·25, 어떤 날인가요?

**6·25(유엔군 참전의 날)**은
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남한을 기습 공격하며 한국전쟁이 발발한 날입니다.

  • 수백만 명의 희생과
  • 수많은 가족의 이산
  • 한반도 분단의 고착화

그만큼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날로 기억되죠.

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날


📜 그런데 왜 공휴일이 아닐까?

사실 6·25는 국가기념일이긴 하지만, '공휴일'은 아닙니다.
그 이유는 아래와 같은 법적·제도적 배경에서 비롯됩니다.


✅ 1. 이미 비슷한 성격의 공휴일이 있기 때문

6·25와 유사한 의미의 날인 **현충일(6월 6일)**은
국가를 위해 희생한 모든 이들을 추모하는 법정 공휴일입니다.

  • 순국선열
  • 전몰장병
  • 전쟁 참전 용사 포함

따라서 정부는 6·25를 별도로 쉬는 날로 지정하지 않고,
현충일을 통해 국가 추모와 전쟁 기억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고 보고 있어요.


✅ 2. 국가기념일 ≠ 법정 공휴일

6·25는 **정부기념일(기념식은 있음)**로 지정되어 있지만,
공휴일로 지정되기 위해선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포함되어야 합니다.

즉,

  • 기념의 대상이 된다고 해서
  • 반드시 쉬는 날이 되는 건 아닌 것!

같은 이유로 유관순 열사 순국일, 제헌절 등도 기념일이지만 공휴일은 아닙니다.


✅ 3. 경제적·사회적 고려도 반영

공휴일을 지정하면

  • 관공서·학교·기업 등 업무 중단
  • 생산성, 경제 활동에 직접적 영향
  • 특히 평일 중 공휴일은 연차 대체 부담 ↑

정부는 이런 사회적 비용과 실효성을 따져
기념일 중 일부만을 선별적으로 공휴일 화하고 있습니다.


🧠 그럼에도 6·25는 여전히 '기억되어야 할 날'

비록 쉬는 날은 아니지만,
6·25는 단순한 숫자가 아닌,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역사 그 자체입니다.

그래서 매년 6월 25일에는

  • 국가보훈처 주관의 기념식
  • 각 지자체와 학교의 추모 행사
  • 언론의 다큐·기사 특집 방송 등으로
    공공성과 교육적 의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

📌 요약정리

구분내용
6·25 의미 한국전쟁 발발일, 국가기념일
공휴일 여부 ❌ 법정 공휴일 아님
이유 현충일로 대체, 제도적·사회적 판단
대신 하는 일 기념식, 참전용사 추모, 교육 콘텐츠 등
 

📝 마무리하며

우리는 때로 '쉬는 날'로서의 공휴일에 익숙해져 있지만,
기억해야 할 날은 꼭 쉬는 날일 필요는 없습니다.

6월 25일,
그날의 의미를 조용히 되새기고
자신만의 방식으로 기억해 보는 것도
이 시대의 평화를 지키는 또 하나의 실천이 아닐까요?

728x90